본문 바로가기
Machinery/GregTech CE (1.12.2)

[GTCE] 황산 제조하기 (Sulfuric acid)

by Anionic_Polym'n 2022. 11. 6.
728x90

이 글은
마인크래프트 버전 - 1.12.2

Omnifactory-1.2.1 모드팩 내의

GregTech CE - 1.8.4.419

Shadows of Greg - 1.12.2-2.8.0

및 다른 모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것은 Onmifactory 모드팩을 참조해주세요)

 

 

 오랜만입니다. 요즘 통 바빠 마크글을 쓸 짬이 안 났네요. 이번엔 그레그테크라는 산업 모드에서 좀 더 나아간 모드를 조금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그레그테크라는 모드만으로는 뭔가 부족하기 때문에, 옴니팩토리(Omnifactory)라는 모드팩을 이용해서 글을 써보려합니다. 따라서, 그레그테크 스탠드 얼론과는 약간의 차이점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점 유의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산업모드는 실제 산업 처럼 마크에서도 공장 설비를 비슷하게 돌려보고자 만든 모드입니다. 그레그테크는 거기서 더 나아가 약간의 현실성을 추구했구요. 그래서 여러 가지 화합물이 많습니다. 그 중 제가 해 본 것들에 한 해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먼저 소개할 화합물은 황산(Sulfuric Acid)입니다. 

황산(黃酸, H2SO4)은 강산성의 액체 화합물이다.
-출처 : 위키피디아 황산 항목

 얘는 산업적으로 널리는 쓰이는 화합물입니다. 그렇기에 그레그테크 내에서도 널리 쓰이죠. 이 화합물을 통해 만들어지는 것이 많습니다. 옴니팩토리 내에서 나중에 쓰이는 인듐이나, 에틸렌, 각종 circuit board에 쓰입니다.

 

 이제 이 화합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황산

 그냥 주황색 액체입니다. 딱히 특이한 점은 없습니다.

 

2. 만드는 방법

 만드는 방법에는 세 가지가 있습니다. 추후 나올 묽은 황산(Diluted Sulfuric acid)를 정제기에 돌려 진한 황산을 얻을 순 있지만, 그건 나중에 따로 설명하겠습니다.

  1. 물과 황 가루(sulfur dust)를 직접 chemical reactor에서 반응시켜 만드는 방법
  2. 물과 황화 수소(Hydrogen Sulfide)를 chemical reactor에서 반응시켜 만드는 방법
  3. 물과 삼산화황을 chemical reactor에서 반응시켜 만드는 방법

 세 방법 모두 그레그테크가 추가하는 기계인 Chemical reactor를 필요로 합니다. 저전압(32eu/t)만 있어도 작동은 합니다만, 속 터지게 느린 조합법이니 왠만하면 빨리빨리 전압을 올리시는 것이 좋습니다. 여기서 전압 수치는 JST3때와 동일합니다. 다만 전류 개념이 살짝 다르니 이는 나중에 다루겠습니다.

 

2.1 물과 황 가루(sulfur dust)를 직접 chemical reactor에서 반응시켜 만드는 방법

물 2000mB(2버킷) + 황 가루 1개 = 황산 3000mB(3버킷)

 1회 조합만으로 황산을 만들어주는 진짜 간단한 방법입니다. 간단하게 만드는 만큼 모드 제작자가 살짝 너프를 시켜놓았습니다. 일단 필요하 전력량이 34500eu인데다가 1회 조합시에 걸리는 시간이 57.5초입니다. 물론 나중에 전압을 높인 고전압의 기계들을 쓰면 이 시간에 관해서는 해결이 되지만, 초반에는 둘 다 감당하기엔 조금은 힘든 너프입니다.

 

 게임의 시간이 흐를수록 다른 조합법은 잘 안쓰고 이 조합법만 줄창씁니다. 사실 초반에도 전력이랑 시간만 많다면 이 조합을 쓰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2 물과 황화 수소(Hydrogen Sulfide)를 chemical reactor에서 반응시켜 만드는 방법

물 2000mB(2버킷) + 황화 수소 2000mB(2버킷) = 황산 3000mB(3버킷)

H2O+H2S→H2SO4

(양론적 관점은 생략함. 게임적 허용으로 봐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아까에 비해서는 필요한 전력과 걸리는 시간이 확연히 줄어들었습니다. 이는 황화수소라는 화합물을 얻은 뒤에나 할 수 있는 조합법이라서 그렇습니다. 간단하게 황화 수소를 만드는 조합법을 추가로 알아보겠습니다.

H2+S→H2S

 이름대로 수소 2000mB과 황 가루 1개를 chemical reactor에 넣고 돌리시면 황화수소 1000mB이 나옵니다. 그래서 황산을 만들기 위해서는 이 조합법을 두 번 해야하빈다.

 추가로 이 황화 수소는 2.3에서도 쓰입니다!

 

2.3 물과 삼산화황을 chemical reactor에서 반응시켜 만드는 방법

 물 1000mB + 삼산화황 1000mB = 황산 1000mB

H2O+SO3→H2SO4

 가장 현실적인 황산 제조방법입니다. 위의 화학식에서도 양변이 등식을 이룹니다! 물론 수율 100%라는 가정하에서 이지만요. 이 조합법의 특징은 필요한 전력및 걸리는 시간이 매우 적은 것입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잘 쓰이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삼산화황까지 오는데 필요한 단계가 번거롭기 때문입니다.

삼산화황은 다음 공정(?)을 통해서 만들어집니다.

 여기서 하나씩 만들어가며 삼산화황을 만드는 곳을 확대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황산을 1회 조합하는데 삼산화황이 1000mB 필요하므로 위 과정을 한번만 하면 됩니다. 총 합산할 시, 10800eu와 19초가 걸립니다. 확실히 2.1보다는 전력과 시간을 덜 먹지만, 위 과정 중 수소와 산소를 만들때 들어간 전력을 무시한 결과입니다. 이를 고려하면 필요한 전력의 양은 더 커질 것 입니다.

 그래서 정 2.3의 조합법대로 황산을 만들고 싶다면, 차라리 바로 삼산화황을 만들어 쓰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산소만 3000mB를 만들 수 있다면, 훨씬 간단하게 삼산화황을 만들 수 있습니다. 괜히 chemical reactor를 여러 대 만드는 니 깔끔하게 2개만(삼산화황/황산 제조용) 만들고 끝내는 것이 좋습니다. 그레그테크의 초반에서는 저전압 기계 1대 만들기도 벅차거든요.

 

2.4 결론

 왠만하면, 2.1의 방법을 쓰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모드팩인 옴니팩토리의 특성(대량생산!)상 결국, 전력은 풍부해집니다. 초반에만 살짝 버티면, 여러 기계 만드는 수고 없이 황산을 만드는 2.1을 저는 추천드립니다.

 

 

이상으로 GTCE의 황산(sulfuric acid)에 대한 글을 마치겠습니다.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