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orestry/양봉 - 벌 종류(Apiculture)

[포레스트리] 추운 바이옴에서는 벌을 못 기르나요? - 프로즌 브랜치 (Frozen Branch) (1)

by Anionic_Polym'n 2022. 8. 8.
728x90

마인크래프트 버전 - 1.12.2

Forestry - 5.8.2.422

Binnie 모드류 - 2.5.1.188

Career Bees - 1.0

MagicBees - 1.0

을 쓰고 있습니다.

 

저 앞의 알베어리 안에 Gelid 벌이 있다

 요즘 제가 하던 모드 서버가 다시 열려 마크를 하던 중 오랜만에 추운 바이옴 관련 벌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추운 바이옴 관련 벌은 꿀도 잘 주지 않고, 굳이 처음부터 만들어야할 이유가 크지 않기 때문에 손이 잘 가지 않지만, 이번 서버에서는 양봉의 끝을 보겠다는 마음으로 만들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만든 벌에 대해서 한번 글을 써보겠습니다. 사실 추운 바이옴 관련 벌은 지옥 관련 벌이나 뜨거운 지형 관련 벌에 비해 빈약합니다. 대부분의 광물벌이 지옥벌 테크를 한번이라도 걸치는 반면에 추운 바이옴 관련 벌 중 광물벌로 변하는 것은 거의 없습니다. 또한, 추운 바이옴 벌이 주는 벌집을 원심분리할 시 꿀방울이 나올 확률이 적은 것도 관심을 적게 받는 이유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그런지 포레스트리 관련 모더들도 추운 지형 벌에 대해서는 그리 신경을 쓰지 않습니다.

 

 그러나 모더들이 신경을 적게 쓰는 만큼 이 벌들은 만들기 쉽습니다. 다른 벌들은 변이 조건으로 양봉기 밑에 특정한 블럭을 놓거나, 특정 바이옴까지 가야하는 반면에 얘는 그냥 온도만 맞춰주면 알아서 잘 변이합니다. 즉, 알베어리 하나만 있으면 추운 바이옴 관련 벌은 다 만들 수 있습니다. 추운 바이옴에 서식하는 벌 인 만큼 변이시 Icy나 Cold 온도 조건을 요구합니다. 이는 알베어리 팬으로 해결할 수 있으니, 이 글을 참조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포레스트리] 알베어리 업그레이드 하기(1)

마인크래프트 버전 - 1.12.2 Forestry - 5.8.2.422 Binnie 모드류 - 2.5.1.188 Career Bees - 1.0 MagicBees - 1.0 을 쓰고 있습니다. 지난 알베어리 글에서는 알베어리에 대해서만 간략히 알아보았습니다. [포레..

pooling130720.tistory.com

 

 이제 포레스트리와 비니모드에서 추가한 추운 바이옴 벌 브랜치 중 하나인 프로즌 브랜치에 대한 글을 써보겠습니다.

프로즌 브랜치의 다섯 벌

 프로즌 브랜치에는 다섯 종류의 벌이 있습니다. 위 사진에서는 세 종류와 두 종류를 떨어뜨려 놓았는데 그 이유는 왼쪽의 세 종류는 포레스트리 본 모드에 있는 프로즌 브랜치의 벌이고, 오른쪽의 두 종류는 비니모드가 거기다가 추가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글에서는 왼쪽의 세 벌을 알아볼 것입니다.

 

 

먼저, 각 벌의 유전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윈트리 벌 (Wintry: 냉랭한)

 모든 추운 바이옴 벌의 스타트인 윈트리 벌입니다. 시작 벌부터 자손이 4마리입니다. 보통 벌이면 그나마 마제스틱 벌(추후 노블 브랜치에 대한 글을 쓰면 링크를 바꾸겠습니다)까지 가야 자손 4마리를 볼 수 있는 반면에 시작부터 4마리라니 정말 좋은 유전자를 가진 것 같습니다. 자손이 많으면 많을수록 추후 변이가 쉽습니다. 추운 바이옴의 벌인 만큼 꽃은 눈입니다. 주변에 눈사람 하나 만들어 줍시다. 사실 눈이 없어도 꽃만 있어도 됩니다. 왜 굳이 눈을 적어 놓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효과는 Freezing입니다.

Slowly converts nearby water source blocks to ice, if biome temperature is normal or cooler

바이옴의 온도 조건이 Normal 이하일 경우, 주변 물 블럭을 얼음으로 천천히 바꿉니다.

강 주변에서 이 벌을 기르면 강이 어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산업 관련 모드의 경우 물이 필요할 경우가 많으니, 펌프 주변의 물이 이 벌에 얼지 않게 조심하시길 바랍니다. 아니면, 사막이나 정글같이 뜨거운 바이옴에서는 물이 않는 것을 이용해도 되지만, 그러면 윈트리 벌을 기르기 더더욱 어려워지니 별로 추천드리고 싶지는 않습니다.

 

 추운 바이옴의 벌답게, 기본 온도 조건은 Icy이지만, 위로 한칸까지 버틸 수 있어 Cold 조건에서도 기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개 양봉을 시작하는 평원 바이옴(온도: Normal)에서는 기를 수 없는 벌입니다. 추운 지역까지 가서 벌을 기르시거나, 양봉을 어느 정도 한 뒤 알베어리 내의 환경조정을 통해서만 기를 수 있습니다.

 

 습도는 상관없는 벌입니다.(습도 저항성이 위아래로 1칸이면, 모든 바이옴의 습도를 커버가능하다.) 이건 그나마 편하네요.

 

 

2. 아이시 벌 (Icy: 쌀쌀한)

 생산속도가 조금은 빨라진(Slower > Slow) 윈트리벌입니다. 효과도 똑같습니다. 근데 자손이 2마리로 준 건 좀 아쉽네요.

 

윈트리 벌과 다를게 없는 정보입니다.

 

 

3. 글레이시얼 벌 (Glacial: 빙하)

  아이시 벌과 똑같습니다. 효과도 freezing이니, 주변 물 블럭이 얼지 않게 주의해 주세요.

 얘도 윈트리 벌과 다를 게 없습니다. 

 

 

 

이제 각 벌의 생산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프로즌 브랜치는 이 프로즌 벌집을 모두 줍니다.

 프로즌 벌집은 위와 같이 4개의 생산품을 줍니다. 각각 80/70/40/20%의 확률로 얻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꿀 방울의 획득확률이 70퍼 인것에 주목하셔야 합니다. 

 일반 벌집의 경우 90퍼센트의 확률로 꿀방울을 주는 것에 비해 좀 낮습니다. 비록 20퍼센트의 차이이지만, 만약 저걸로 알베어리를 만든다고 할 경우(꿀 방울 1080개 필요) 일반 벌집보다 휠씬 많은 프로즌 벌집이 필요함을 알 수 있습니다. 괜히 확률 싸움하지마시고 일반 벌집을 통해 꿀을 얻어 알베어리를 완성시키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맨 마지막의 20% 확률로 획득할 수 있는 수정화된 화분뭉치(Crystalline Pollen Cluster)로 카펜터에서 아이오딘 캡슐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 아이오딘 캡슐을 레인메이커에 넣고 작동시키면 비가옵니다;;;

양봉업에서는 최악의 날씨를 제 손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그리 추천 드리진 않습니다;; 아니면 같이 사는 양봉업자 엿 먹일때 사용하면 매우 좋습니다. 

 

 아이시 벌은 얼음 샤드를 추가로 줍니다. 저 얼음 샤드로 알베어리 하이드로레귤레이터에 들어가는 깨진 얼음을 만들 수 있습니다. 물에 비해 습도를 올리는 효과가 좋습니다. 사실 프로즌 브랜치는 이거 하나보고 만듭니다. 아니면 추후 소개할 Gelid 벌을 만들거나요.

 

글래이시얼 벌은 얼음 샤드를 만들 확률이 아이시벌에 비해 높습니다. 그것 말고는 뭐 없습니다.

 

 

 

이제 이 세 벌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1단계 입니다.

먼저 추운 지형을 돌아다니면서 위와 같은 벌집을 찾아 윈트리 벌을 얻습니다.

 

2단계 입니다.

 인더스트리우스 벌과 윈트리 벌을 교배시켜 아이시 벌을 만듭니다.

인더스트리우스 벌이 필요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알베어리를 하나 완성시키고 이 브랜치를 만드는 것이 정석적인 루트임을 엿볼 수 있습니다.

 

저 변이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Requires temperature between Icy and Cold

그냥 손쉽게 Cold 온도 조건을 알베어리 팬을 구현시키면 됩니다. 알베어리에 팬 2~3개 정도 달면 편하게 만들 수 있는 온도 조건입니다.

 

3단계 입니다.

아이시 벌과 윈트리 벌을 교배시켜 글래이시얼 벌을 만듭니다.

변이 조건은 아이시 벌을 만들 때와 같습니다.

 

 

이로써 프로즌 브랜치의 세 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는 남은 두 벌을 알아보겠습니다.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