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hinery/엔더 IO

[Ender IO] 엔더 IO의 컨두잇 기본편

Anionic_Polym'n 2022. 8. 3. 09:02
728x90

마인크래프트 버전 - 1.12.2

EnderCore - 1.12.2-0.5.76

Ender IO - 5.3.70

을 쓰고 있습니다.

 

 엔더 IO는 엔더 IO의 대표 이미지와 같이 컨두잇(파이프)을 효율적으로 쓸 수 있게 해주는 모드입니다. 엔더 IO가 추가하는 기계들도 쓸만하지만 저는 엔더 IO 최고의 장점이 컨두잇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글에선 그 컨두잇의 기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컨두잇의 종류입니다.

 이 컨두잇으로는 전력을 수송할 수 있습니다.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 수록 송전할 수 있는 전력의 양이 큽니다.

  빨간색 주황색 초록색
송전 전력 640RF/t 5120RF/t 20480RF/t

 

 이 컨두잇은 아이템을 전달하는 컨두잇입니다. 이번 글에서 가장 많이 쓸 컨두잇입니다. 종류는 위와 같이 한 가지입니다.

 

 이 컨두잇은 액체를 전달하는 컨두잇입니다.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 수롯 추출할 수 있는 액체의 양과 전달하는 양, 그리고 전달 속도가 빠릅니다. 서버를 할 땐 중간의 액체 컨두잇을 조금 쓰다가, 결국 제일 우측의 컨두잇만 주구장창 쓰게됩니다. 

  Fluid Conduit(왼쪽) Pressurized Fluid Conduit
(중간)
Ender Fluid Conduit
(오른쪽)
1회 추출시 액체의 양 50 mB/t 100 mB/t 200 mB/t
전달할 수 있는 액체의 양 200 mB/t 400 mB/t 800 mB/t
특이사항 액체 전송 시 중력의
영향을 받음
  여러 종류의 액체를 같은
파이프로 전송가능

 

 

예시를 통해 컨두잇의 사용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여기 모래를 구울 준비가 된 화로가 있습니다.

 화로와 모래가 들어갈 상자 사이에 아이템 컨두잇을 설치하였습니다. 설치하였더니 위에서 보듯이 파이프만 있는 것이 아니라, 파이랑 기계/상자가 접촉하는 부분에 검은색 판이 하나 생겼습니다. 얘는 컨두잇 커넥터입니다. 기계나 상자에 컨두잇 설치 시 자동으로 생깁니다. 얘를 통해서 입/출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우클릭을 통해 컨두잇 커넥터를 열어보겠습니다.

 상자에서 모래를 꺼내야 하므로, 위에 Extract에 화살표가 쳐져있는 것을 그대로 두었습니다.

 그리고 저흰 레드스톤 신호 없이 모래를 상자에 꺼내야 하므로, 저 버튼을 클릭해 레드스톤 모드를 Always Active로 설정하였습니다. 저렇게하면 레드스톤 신호에 상관없이 파이프가 기계나 상자에서 아이템을 뺄 수 있습니다.

 이 모드로 설정하면, 레드신호를 줄 때만 출력을 실시하며,

 이 모드일 경우에는 레드스톤 신호가 없을 경우에만 출력을 실시합니다.

이 모드들을 통해, 출력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적당량을 유지해야하는 아이템이 있을 경우 적당량을 넘어갈 시, 레드스톤 신호가 변하게 하여 기계의 출력을 조절하는 등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화로에 모래가 들어가야 하므로 저 Extract를 Insert로 바꿔주어야 합니다.

 인서트를 클릭하였더니 화로에 화살표가 양방향으로 생겼습니다. 화로에 아이템을 넣고 빼는 것을 저 한 개의 컨두잇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근데 우리는 유리를 화로 오른쪽의 상자에 넣을 것이기 때문에 출력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래서 인서트에만 화살표를 놔두었습니다. 원래 설계한 대로 화살표가 설정되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상자 > 화로)

 상자에 모래 1세을 넣어 유리 1셋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화로를 저서트3에서 추가하는 전기로(전기로 작동하는 화로)로 바꾸었습니다. 화살표의 방향이 그대로 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컨두잇 커넥터를 열어보아도 이전의 설정과 같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화로가 부서져도 컨두잇 커넥터의 설정은 유지됩니다. 정말로 편리한 파이프입니다. 

 전력을 공급하니 유리가 만들어 집니다. 잠시 전력 공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력을 전달하는 컨두잇도 설치시 이런 컨두잇 커넥터가 만들어 집니다. 저흰 이 블럭에서 전력을 출력하기만을 원하므로,

 커넥터를 통해 다음과 같이 바꿔주었습니다. (Extract에만 화살표 두기)

 유리가 만들어 지는 동안 유리를 보관할 상자에 연결을 해보겠습니다. 근데 저 칙칙한 초록색이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그래서 아까 커넥터의 설정 중에 색깔이 있는 것을 확인하고 한번 좌클릭을 해 보았더니 갈색이 되었습니다.

 화살표도 갈색이 되었습니다. 예쁘네요.

 아까와 똑같이 전기로에서 출력을 설정(레드스톤 신호 무시하고 항상 작동)하였는데도,

 유리가 빠지지 않습니다. 왜 그럴 까요?

 

이유는 색깔에 있습니다. 아까 저희가 유리를 입력받는 상자의 화살표 색깔을 갈색으로 변경하였습니다. 혹시나 해서 출력하는 컨두잇도 다음과 같이,

 갈색으로 변경해보았습니다. 

 이제서야 상자에 유리가 입력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색깔은 채널이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같은 색깔끼리는 입/출력이 가능하지만, 다른 색깔끼리는 입출력이 불가능합니다. 즉, 같은 컨두잇을 통해 전송을 하여도, 색깔이 다르면 다른 곳에 전송이 된다는 것 입니다. 

 여길 보시면, 갈색의 화살표와 파란색의 화살표가 있습니다. 즉, 왼쪽 위의 전기로에서 오른쪽 아래의 상자로 결과물이 들어가며, 왼쪽 아래의 전기로에서 오른쪽 위의 상자로 결과물이 들어갑니다. 엔더 IO를 통해 이렇게 효율적으로 공간을 쓰실 수 있습니다.

 

색깔에는 총 16가지가 있습니다.

초록, 갈색, 파랑, 보라, 청록, 회백, 회색, 분홍, 연두, 노랑, 하늘, 자홍, 주황, 하얀, 검은, 빨간색

즉, 같은 파이프라인이어도 16가지의 입/출력을 전달할 수 있다는 것 입니다.

 

 

이제, 아이템과 액체를 같은 파이프라인을 통해 전송시켜 보겠습니다.

 여기 분자분리기(전기분해기)에 물이 충전되어 있습니다.

 물을 산소 셀(아이템)과 수소 가스(액체)로 전기 분해하려 합니다.

 전기 분해는 성공적이었지만, 이제 저 둘을 각각 옮겨야 합니다.

 먼저 액체를 옮겨보겠습니다. 위와 같이 액체 전용 컨두잇을 분자분리기와 드럼(액체 보관소) 사시에 설치하였더니, 아이템 컨두잇 때와 마찬가지로 컨두잇 커넥터가 자동으로 생성되었습니다.

 기계에서 수소 가스를 출력해야 하므로, 출력만 체크하고 '레드스톤 신호없이 항상 동작'을 설정하였습니다.

 액체를 저장하는 드럼에는 입력만 하면 되므로 위와 같이 입력만을 설정하였습니다.

 정상적으로 수소 가스가 기계에서 출력되어 드럼으로 들어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아직 기계엔 산소 셀이 아이템의 형태로 남아있습니다. 

 산소 셀을 상자에다가 넣으려고 하는데, 써멀에서의 익숙한 방법으로 위와 같이 액체 파이프와 아이템 파이프를 분리해야할 것 같습니다. 그런데 엔더 IO에서는 이럴 필요가 없습니다.

 그냥 액체 파이프가 설치된 곳에 아이템 컨두잇을 설치하면 알아서 겹쳐줍니다. 그리고, 분자분리기의 컨두잇 커넥터에 화살표가 두개 생긴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우클릭 해보겠습니다.

 우클릭을 해보았더니, 아까와 다르게 두개의 페이지가 생긴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오른쪽의 책갈피 비스무리하게 생긴 것을 통해 첫 번째 페이지는 아이템 컨두잇에 관련된 것이고, 

 두 번째 페이지는 액체 파이프에 관련된 페이지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까와 같이 상자에 컨두잇을 설치하고 입/출력을 조절하였더니,

 정상적으로 산소셀이 분자분리기에서 출력되어 상자로 입력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혹시나 해서 전력 컨두잇을 연장해봤더니 같은 블럭에 아이템/액체/전력 파이프가 모인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아까의 전기로를 다시 설치해보았습니다.

 지금 위와 같이 기계와 파이프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산소 셀은 저 나무 상자에, 구워진 유리는 철 상자(맨 위의 상자)에 들어가게 해야합니다. 같은 파이프를 통해 산소 셀과 유리가 전송되므로, 두 채널을 구분해 주어야 합니다. 채널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커넥터의 색깔을 다르게 해야한다'는 것을 우리는 위에서 배웠습니다.

 산소 셀이 들어가던 상자의 커넥터의 색깔이 초록색인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철 상자에 아이템 컨두잇을 설치하고, 

 전기로 출력 아이템 컨두잇의 색깔을 빨강색으로 변경해주었습니다.

 마찬가지로, 철 상자의 커넥터의 색깔도 빨강색으로 바꿔주었습니다.

 두 개의 화살표 색깔이 다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모래가 구워집니다.

 정상적으로 철 상자에 유리가 들어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자에는 산소 셀만 있네요. 우리가 원하는 대로 기계의 입/출력이 작동중입니다.

 

 

써멀 파이프와의 차이점

써멀 파이프를 통해서는 다음과 같이 설치해야할 것 입니다.

 필터를 쓰지 않을 경우, 같은 파이프 라인을 쓸 수가 없어(상자를 구분못함) 두 개의 아이템 파이프라인을 써야합니다.

필터를 쓴 경우에도, 액체 파이프라인과 아이템 파이프 라인을 겹칠수가 없어 공간의 낭비가 생깁니다.

다시 비교해 보면, 엔더 IO의 컨두잇들을 통해 굉장히 효율적으로 공간을 쓸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엔더 IO 컨두잇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봐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