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achinery/Just Server Tweak - 기계 및 자동화

[저서트3] 초반 증기 발전

by Anionic_Polym'n 2022. 8. 26.
728x90

이 글은
마인크래프트 버전 - 1.12.2
산업모드(industrialcraft 2) - 2.8.197-ex112
저스트서버트윅3(Just Server Tweak 3) - 3.7.9
의 모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저서트3은 마인크래프트 산업모드의 확장판입니다. 그래서 많은 기계를 써야하고, 그 기계들은 전력을 필요로 하죠. 저서트3의 초반에는 그리 효율적인 발전기들이 없습니다. 위의 보이는 스털링 발전기에 석탄이나 목탄을 태워서 전력 발전을 하죠.

 

 이렇게 목탄(목탄 블럭)을 넣어 발전을 합니다. 이는 굉장히 효율이 떨어지는 방식입니다.

 

 오늘 소개할 방식은 간편하면서도 이보다 훨씬 효율이 좋은 발전 방식입니다. 그저 기계 두 개만 만들면(변환하면) 됩니다.

 

 

1. 보일러 변환 키트를 사용한 보일러

 보일러 변환 키트란 아이템을 만들어야 합니다. 보일러 변환 키트란 이름 그대로 스털링 발전기를 보일러로 바꾸어 줍니다. 즉, 전기를 생산하는 대신 증기를 생산하는 기계로 바뀐다는 겁니다.

 

출처 : https://steemit.com/kr-science/@chosungyun/55t3zj

 이건 현실의 증기터빈입니다. 저서트3은 이렇게 자세히는 구현하지 않았습니다. 일단 알아둘 것은 변환 키트로 변환된 보일러는 위의 Steam entry에 필요한 증기를 생산합니다. 

 

이건 변환 키트를 장착하기전의 스털링 발전기의 외부 모습과 내부 GUI입니다. 

 

 변환 키트를 설치하고 나면, 증기 배출구가 외부에 표시되며(빨간색 세모랑 원), 내부도 더욱 복잡하게 바뀝니다.

 

물을 한 양동이(1000mB)를 넣어보겠습니다.

 중앙의 내부 탱크에 물 1000mB가 들어간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제 목탄 블럭을 넣고 태워보겠습니다.

 중앙의 내부 탱크의 물을 빠르게 소비하면서 증기를 만들어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물 한 양동이만으로 많은 양의 증기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계속 수동으로 물을 공급해주기는 꽤나 귀찮습니다. 이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1. 무한 물 펌프 기계를 사용

 간단히 저서트3에서 추가하는 다른 기계인 무한 물 펌프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이름답게 무한으로 물을 공급합니다. 

 

 

2. 물 생성 업그레이드 키트 사용

 보일러 변환 키트와 같이 기계에 설치하는 키트입니다. 이 키트의 효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보일러의 내부 탱크에 자동으로 물을 공급합니다.

위의 무한 물 펌프 기계를 보일러 내부에 설치하는 것과 같습니다.

 

이제 목탄이나 석탄만 있다면 자동으로 무한정 증기를 만들어낼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근데, 증기를 만들어서 어떻게 전력으로 만들까요? 

출처 : https://steemit.com/kr-science/@chosungyun/55t3zj

 아까 보았던 현실의 증기 터빈입니다. 증기 터빈은 보일러의 생산된 증기를 받아, 터빈을 돌려 전력(Electricity)를 생산합니다. 저서트3에도 이와 똑같은 기능을 하는 기계가 있습니다. 바로 이름도 같은 증기 터빈입니다.

 

 

2. 증기 터빈을 이용해서 전력 생산하기

 위의 사진은 증기 터빈의 모습입니다. 왼쪽부터 저전압 - 중전압 - 고전압 증기터빈입니다. 전압이 올라갈수록, 증기를 더 많이 소비해서 더 많은 전력을 생산합니다. 이를 제외하고 멀티블럭인 대형 증기터빈이 있지만, 아직 소개할 단계(초반부)가 아니라 여기서는 생략하겠습니다.

 

어떻게 증기를 받아 전력을 생산할까요?

 단순합니다. 아까 변환된 보일러의 증기배출구면(빨간색 세모와 원이 있는 면)에 증기 터빈을 바로 붙여 설치하면 증기 터빈으로 바로 증기가 들어갑니다.

 

 증기 터빈 내에 증기가 정상적으로 들어가면서 전력을 생산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로써 초반부의 효율좋은 발전인 증기 발전에 대한 소개를 마치겠습니다.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