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마인크래프트 버전 - 1.12.2
산업모드(industrialcraft 2) - 2.8.197-ex112
저스트서버트윅3(Just Server Tweak 3) - 3.7.9
의 모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 우린 스털링 발전기를 변환 키트를 통해 보일러로 바꿔보았습니다.
[저서트3] 초반 증기 발전
이 글은 마인크래프트 버전 - 1.12.2 산업모드(industrialcraft 2) - 2.8.197-ex112 저스트서버트윅3(Just Server Tweak 3) - 3.7.9 의 모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저서트3은 마인크래프트 산업모드의 확장판입..
pooling130720.tistory.com
또한 이 글의 마지막을 보시면 짤막히 대형 보일러를 소개했습니다.
[저서트3] 후반 증기 발전
이 글은 마인크래프트 버전 - 1.12.2 산업모드(industrialcraft 2) - 2.8.197-ex112 저스트서버트윅3(Just Server Tweak 3) - 3.7.9 의 모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초반부의 증기 발전에 대해 알아..
pooling130720.tistory.com
오늘은 이 대형 보일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멀티 블럭 기계인 만큼, 당연히 단일 블럭 보일러(스털링 발전기 + 변환키트)보다는 훨씬 좋습니다. 또한, 자신이 원하는 만큼 증기를 생산할 수 있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과한 연료의 소모를 막을 수 있습니다.
이 대형 보일러는 2~5층 짜리의 멀티 블럭 기계입니다. 풀 사이즈의 보일러(5층)를 설치하실려면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신 후 설치하시길 바랍니다.
1. 멀티블럭 구성에 필요한 블럭
이 대형 보일러를 설치하기 위해선 다음 포에 나와있는 블럭이 필요합니다.
이름 | 용도 | 필요한 갯수(블럭) |
대형 보일러(제어기) | 보일러를 제어 | 1 |
내열 케이싱 | 보일러 1층의 뼈대 | 5 ~ 6 |
아이템 입력 (초록색 세모 +네모) | 연료 입력 | 1 |
유체 입력 (초록색 세모 +원) | 물 입력 | 1 |
유체 출력 (빨간색 세모 +원) | 증기 출력 | 1 |
케이싱(기본/고급/첨단) | 보일러 2~5층의 뼈대 | 8 ~ 32 |
이제 각 아이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대형 보일러(제어기)
보일러의 두뇌에 해당하는 블럭입니다. 특고압급(첨단 회로 3개)의 조합 난이도를 가집니다.
2. 내열 케이싱
왼쪽 사진에서 보일러랑 똑같은 색깔을 지닌 블럭이 내열 내열케이싱입니다. 설멸에는 5~6개가 필요하다고 되어있지만, 그냥 6개가 필요합니다. 어차피 오른쪽의 조합법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굉장히 싼 블럭입니다.
3. 입/출력 포트
초록색 세모는 입력전용 포트, 빨간색 세모는 출력 전용 포트입니다. 각각 1블럭씩 필요합니다. 조합법 자체는 저전압급의 난이도 이므로 따로 소개하지는 않겠습니다.
4. 케이싱(기본/고급/첨단)
맨 아래의 하늘색 블럭이 기본 케이싱, 중간의 남색 블럭이 고급 케이싱, 맨 위의 분홍색 블럭이 첨단 케이싱입니다.
각 케이싱 별로 조합 난이도가 좀 차이납니다.
기본 케이싱은 굉장히 조합하기 쉽습니다. 저전압급의 조합 난이도를 가집니다. 또한, 1회 조합당 4개의 케이싱이 조합되므로 풀 사이즈의 보일러의 경우(5층, 32개의 케이싱이 필요함)에도 8번만 조합하면 됩니다.
고급 케이싱은 고전압급의 조합 난이도를 가집니다. 역시 조금만 발전하며 만들기 쉬운 케이싱입니다. 또한, 기본 케이싱이 그렇듯 1회 조합시 4개가 만들어집니다.
첨단 케이싱은 살짝 얘기가 달라집니다. 조합에 크로뮴 판(분홍색 판형 아이템)이 필요하므로 최소한 극초고압급의 전기로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 고급 케이싱을 사용하기 위해선 후반 테크까지는 어느정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2. 설치 방법
이제 각 블럭들을 알맞게 설치해보겠습니다.
제어기를 땅에 설치하고 우클릭하여 GUI를 열면 다음과 같은 창이 나옵니다.
여기서 각 색깔별로 다음과 같은 블럭을 놓아야 합니다.
1. 하늘색 - 본 제어기
2. 초록색 - 내열 케이싱 / 아이템 입력 / 유체 입력
3. 파란색 - 기본/고급/첨단 케이싱(섞어서 써도 됨) / 유체 출력
1층에서는 제어기와 내열 케이싱, 유체/아이템 입력 포트를 놓아줍니다. 각 포트를 다른 위체 놓아도 상관없습니다.
2층에서 부터는 다음과 같이 중간이 뚫린 형태로 기본/고급/첨단 케이싱을 놓아줍니다. 만약, 2층짜리 작은 보일러를 두고 싶다면 바로 9칸을 꽉 채워야 합니다.
3층과 4층도 2층과 마찬가지로 놓아주시면 됩니다.
마지막층은 그냥 9칸을 꽉 채워주시면 됩니다.
그 후에 1층을 제외한 곳에 케이싱을 떼고, 증기 출력용 유체 출력 포트를 놓아주시면 됩니다.
3. 증기 출력량
이 보일러는 32개의 기본 케이싱(7 + 8 + 8 + 9)을 활용하여 만든 대형 보일러입니다.
그랬더니 증기출력량이 1024mB/t이네요.
즉, 1개의 기본 케이싱당 1024 / 32 = 32mB/t의 증기를 생산할 수 있다는 것 입니다.
1개의 기본 케이싱을 고급 케이싱으로 바꿔보았습니다. 증기 출력량이 1248mB/t로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즉, 1개의 고급 케이싱당 (1248 - 1024) + 32 = 256mB/t의 증기를 생산합니다.
그렇다면, 2개를 바꾸면 어떻게 될까요?
1024 + (256 - 32) * 2 = 1472mB/t의 생산량을 가지는 보일러가 된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이번엔 첨단 케이싱으로 바꿔보겠습니다.
1개의 기본의 케이싱을 첨단 케이싱으로 바꿔보았습니다. 증기 출력량이 2992mB/t로 꽤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즉, 1개의 첨단 케이싱당 (2992 - 1024) + 32 = 2000mB/ t의 증기를 생산합니다.
마찬가지로, 기본 케이싱 2개를 바꿔보았습니다.
계산에 따르면, 이 보일러는 1024 + (2000 - 32) * 2= 4960mB/t의 증기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표로 정리해보겠습니다.
이름 | 생산가능한 증기의 양 | 조합 난이도 |
기본 케이싱 | 32mB/t | 저전압 |
고급 케이싱 | 256mB/t | 고전압 |
첨단 케이싱 | 2000mB/t | 극초고압 |
저번 글에서 이런 보일러를 보여드렸습니다.
이 보일러는 첨단 케이싱을 32개 사용했으므로, 2000 * 32 = 64000mB/t의 증기 생산량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저서트3의 대형 보일러에 대한 글을 마치겠습니다.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Machinery > Just Server Tweak - 기계 및 자동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서트3] 초고열 화로 (1) | 2022.08.30 |
---|---|
[저서트3] 대형 공기 정화기 (1) | 2022.08.29 |
[저서트3] 후반 증기 발전 (1) | 2022.08.27 |
[저서트3] 초반 증기 발전 (0) | 2022.08.26 |
[저서트3] 회로 제작기로 회로 만들기 (1) | 2022.08.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