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achinery/Just Server Tweak - 기계 및 자동화

[저서트3] 대형 공기 정화기

by Anionic_Polym'n 2022. 8. 29.
728x90

이 글은
마인크래프트 버전 - 1.12.2
산업모드(industrialcraft 2) - 2.8.197-ex112
저스트서버트윅3(Just Server Tweak 3) - 3.7.9
의 모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저번에 대형 보일러라는 멀티블럭 기계를 소개하면서 그 기계를 조금 사용했더니, 저서트3 만의 디버프인 미세먼지가 걸렸습니다. 미세먼지는 기계를 사용할 때마다 조금씩 나오며, 특히 멀티블럭 발전기를 사용할 때 대량으로 배출됩니다.

이 미세먼지가 일정이상 쌓이면 주변의 모든 플레이어에게 위처럼 '미세먼지' 디버프를 겁니다. 

 

 

쌓인 미세먼지의 양은 위 도구로 알 수 있습니다.

 좌측은 일반 미세먼지 측정기, 우측은 고급 미세먼지 측정기입니다. 일반 미세먼지 측정기는 현재 위치한 청크의 미세먼지 양만을 보여주고, 고급 미세먼지 측정기는 주변 청크에 쌓인 미세먼지 양도 보여줍니다.

 

현재 제 주변의 미세먼지 양은 다음과 같네요.

 아주 빨간 것으로 보아, 대한민국의 봄철 미세먼지 수준으로 쌓였나 봅니다. 

 

 

이 디버프를 해제하기 위해선, 청크의 미세먼지 수준을 다시 일정이하로 내려야합니다. 

이를 해주는 기계로 단일블럭 공기정화기가 있지만, 얘는 필터를 주기적으로 갈아주어야 하며, 그리 효율적이지도 않습니다.

 

대형 공기 정화기의 모습

 그래서 제가 서버를 할 때는 조금 비싸지만, 이 대형 공기 정화기를 하나 만들어서 사용합니다. 단일블럭보다 훨씬 효율적 이며, 한 대만 만들면 서버가 끝날때까지 미세먼지 걱정없이 살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 대형 공기 정화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멀티블럭 구성에 필요한 블럭

 대형 공기정화기를 만들기 위해선 다음과 같은 블럭이 필요합니다.

이름 용도 필요한 갯수 (블럭)
대형 공기정화기 (본 아이템) 공기 정화기의 두뇌 1
기본 케이싱 공기 정화기의 뼈대 14 ~ 16
필터 케이싱 (필터 블럭) 공기 정화기의 뼈대 8
에너지 입력 에너지 입력 1
유체 입력 물/요소수 입력 0 ~ 1
아이템 출력 포집된 탄소 가루 배출 0 ~ 1

 

 

1. 대형 공기정화기

 조합에 티타늄+첨단회로가 필요하므로, 난이도는 특고압급이라 할 수 있습니다. 멀티블럭 치고는 초~중반에 만들 수 있습니다. 그리 비싸지 않으므로, 꼭 공기 정화기는 멀티블록을 쓰시는 게 이득입니다.

 

 

2. 기본 케이싱

 예전에도 여러번 소개했던 기본 케이싱입니다. 저전압급의 조합 난이도라서 매우 쉽습니다. 

 

 

3. 필터 케이싱

 전기 분해를 통해 탄소 가루만 만들 수 있다면, 굉장히 양상하기 쉽습니다. 케이싱이 8개가 필요하므로, 총 24개의 필터를 만들어야 합니다. 하지만, 이 24개만 만들면 더 이상 필터를 만들 필요가 없습니다. 단일블럭 공기 정화기는 이 필터를 주기적으로 갈아줘야하지만, 대형 공기정화기는 필터를 주기적으로 갈아줘야 할 필요가 없이, 물이나 요소수만 충전해주면 되기 때문입니다.

 

탄소 가루와 필터 만들기

 탄소 가루 자체는 저전압급 난이도입니다. 그냥 24개 만들어 줍시다.

 

 

4. 각종 입력/출력 해치들

 대형 공기정화기는 물/요소수를 받아서, 미세먼지를 포집하여, 그것을 탄소 가루의 형태로 배출합니다. 제가 써본 결과 그리 많이는 배출하지 않으므로, 아이템 출력 해치 앞에 적당한 상자하나만 놓으시면 됩니다. 

 

설명에서는 요소수를 넣으면 더 효율적이라 하지만, 물로도 충분히 커버가 됩니다. 그냥 무한 물 생성기 옆에 두시고 쓰시면 될 것 같습니다.

 

 

 

2. 설치 방법

 대형 공기 정화기 본체를 그냥 설치하면 다음과 같은 GUI를 볼 수 있습니다.

 각 색깔별로 필요한 블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하늘색 - 본 아이템(제어기)

2. 하얀색 - 필터 케이싱

3. 파란색 - 기본 케이싱 및 각종 입출력 해치

 

이제 알맞게 설치해보겠습니다.

 1층은 그냥 기본 케이싱 및 각종 입출력 해치를 놓으시면 됩니다. 전 그냥 1층에 에너지 입력 해치와 유테 입력 해치를 놓았습니다. 다른 블럭은 다 기본 케이싱입니다.

 

 

 2층도 1층과 마찬가지로 기본 케이싱 및 각종 입출력 해치를 놓으시면 됩니다. 전 2층에 아이템 출력 해치를 놓았습니다. 중앙은 뻥 뚫어 놓으셔야합니다.

 

 

 3층은 일단 중앙을 제외하고 필터 케이싱을 놓아주셔야 합니다.  그 뒤엔 중앙에다가 제어기를 설치하셔서 완성시켜주시면 됩니다.

 

 

3. 대형 공기 정화기 사용하기

 에너지 입력 해치에 전력을, 유체 입력 해치에 물/요소수를, 아이템 출력 해치 앞에 상자 하나 놓으시면 세팅 끝입니다.

위에서도 설명드렸지만, 물로도 충분히 미세먼지를 잡습니다. 그래도 요소수를 쓰고 싶은 분을 위해 요소수 만드는 법을 소개해보겠습니다.

 

 먼저 물 2000mB, 질소 셀 2개, 탄소가루 1개를 이용해 요소 가루 8개를 만듭니다. (화학 혼합기 필요)

 

 이 요소 가루를 물에 잘 녹이면(화학 혼합기) 요소수가 됩니다.

 

간단하긴 한데, 질소 셀 만들기가 귀찮습니다. 그냥 물 쓰세요.

 

 

 

이상으로 저서트3의 대형 공기정화기에 대한 글을 마치겠습니다.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