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인크래프트 버전 - 1.12.2
Forestry - 5.8.2.422
Binnie 모드류 - 2.5.1.188
Career Bees - 1.0
MagicBees - 1.0
을 쓰고 있습니다.
지난 알베어리 글에서는 알베어리에 대해서만 간략히 알아보았습니다.
[포레스트리] 벌을 기르는 세가지 방법(2) - 알베어리(Alveary) 소개
마인크래프트 버전 - 1.12.2 Forestry - 5.8.2.422 Binnie 모드류 - 2.5.1.188 Career Bees - 1.0 MagicBees - 1.0 을 쓰고 있습니다. 저번 글에선 3가지 양봉기 중 비하우스와 아피어리를 알아보았습니다. [포레..
pooling130720.tistory.com
이제 이 알베어리를 업그레이드 시키는 블럭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소개할 블럭 목록-
1. 알베어리 팬/히터/하이드로 레귤레이터 (Alveary Fan/Heater/Hydroregulator)
2. 알베어리 트랜스미션 (Alveary Trasmission)
3. 프레임 하우징/프레임 홀더 (Frame Housing/Alveary Frame Holder)
4. 알베어리 스태빌라이저/뮤테이터 (Alveary Stabilizer/Mutator)
위 사진보다 더 많은 블럭들을 사용하면 손쉽게 알베어리내 환경을 조정하거나 벌의 수를 불릴 수 있습니다.
1. 알베어리 내의 온/습도 관련 블럭
밑의 세블럭은 알베어리 내의 환경(온/습도)을 조정하는 블럭입니다. 만약 이 블럭들을 사용할 시 기르고자 하는 벌의 환경과 주변 바이옴의 환경이 맞지 않아도 이 알베어리 내에서는 기를 수 있게 됩니다.
전력을 받아 알베어리 내를 시원하게 해주는 블럭입니다. 전력을 주면 설치된 블럭 1개당 온도를 19% 낮춥니다.
위의 팬과 반대로 전력을 주면 알베어리 내부의 온도를 올립니다. 설치된 블럭 1개당 온도를 18% 올립니다.
*실제 사용 예
여기 아무런 전력을 주지 않은 알베어리가 있습니다. 일반 평원 바이옴이므로 온도는 80%, 습도는 40%입니다.
이제 알베어리 팬에 전력을 가해보겠습니다.
전력을 주고 알베어리 내부의 온도를 살펴보니 61%가 되었습니다. 팬 개당 온도를 19% 낮추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제 팬 두개를 설치하여 이 가정이 맞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온도가 80-(19*2)=42%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로써 평원 바이옴에서도 추운 지역에서만 활동하는 윈터리 벌을 유전자 조작 없이 기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제 반대로 히터를 가동시켜 보겠습니다.
히터를 1개 가동시켰더니 벌들이 덥다고 파업을 하고 있습니다. 온도를 보니 18%나 증가한 98%입니다. 따라서, 히터는 블럭 1개당 온도를 18% 올릴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이걸로 더운 지역에 사는 벌들도 유전자 조작없이 평원에서 기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알베어리 내부 한정)
이제 온도가 아닌 습도를 조작해보겠습니다.
알베어리 하이드로 레귤레이터는 물/깨진 얼음(Crushed Ice: 윈터리 벌계열이 생산한 얼음 샤드를 압착하면 얻을 수 있다.)/용암을 이용해서 알베어리의 습도를 조정합니다. 이때, 온도도 같이 조정되니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이제 각 액체 별 효과를 알아보겠습니다. 기본 평원이라 온도는 80%, 습도는 40%가 기본입니다.
물의 효과: 습도를 19% 올리고, 온도를 9% 낮췄습니다.
깨진 얼음의 효과: 습도를 38% 올리고, 온도를 19% 낮췄습니다.
용암의 효과: 습도를 19% 낮추고, 온도를 9% 올립니다.
이제 정리하여 보겠습니다.
블럭 이름/액체 이름 | 온도 증감 | 습도 증감 |
알베어리 팬 | -19% | - |
알베어리 히터 | +18% | - |
물(알베어리 하이드로 레귤레이터) | -9% | +19% |
깨진 얼음(알베어리 하이드로레귤레이터) | -19% | +38% |
용암(알베어리 하이드로 레귤레이터) | +9% | -19% |
위를 사용하여 벌에 맞게 알베어리 내의 환경을 조절해 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참고로 하이드로 레귤레이터도 여러 블럭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알베어리는 멀티 블럭이라는 사실을 잊으시면 안됩니다!
위 세 블럭에 대한 조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알베어리 팬 - 알베어리 블럭 1개 + 철괴 4개 + 금 진공관 1개
알베어리 히터 - 알베어리 블럭 1개 + 철괴 1개 + 금 진공관 2개 + 돌 3개
알베어리 팬 - 알베어리 블럭 1개 + 철괴 2개 + 유리 6개
금 진공관은 써미오닉 파브리케이터라는 포레스트리 기계에서 다음과 같이 만들어집니다.
2. 알베어리 전력 관련 블럭
1에서 팬과 히터는 블럭 갯수 만큼 온도를 조절하니, 일반 평원바이옴(Plains)에서 Hellish 온도를 맞추는 등 극단적인 환경을 맞추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알베어리 히터가 필요하며, 이들에게 일일히 전력을 연결해주어야 합니다. 전선은 많으면 많을수록 미관을 해치며, 자동화를 어렵게 만듭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 블럭이 있습니다.
알베어리 트랜스미션에 전력을 공급할 시 알베어리 전체로 전력을 전달합니다. 아래와 같이 팬 두개가 알베어리에 있습니다. 원래대로라면 팬마다 전선을 이어주어서 전력을 공급하여야 하지만, 이 블럭을 설치할 경우 다음과 같이 깔끔해집니다.
보면 전선이 이어지지 않은 팬에서도 전력이 차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블럭을 쓰면 더 쉽고 예쁜 환경 조정을 할 수 있습니다.
조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알베어리 블럭에 주석 기어 4개이므로, 싸게 만들 수 있는 블럭입니다.
3. 프레임 관련 블럭
아피어리에는 프레임을 박을 수 있어, 생산량을 증대시키거나 변이율을 증가시킬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알베어리에는 이런 프레임을 박을 수 있는 곳이 없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엑스트라비(Binnie's Extra Bees)와 캐리어비(CareerBee)가 각각 1개의 블럭을 내놓았습니다. 바로 프레임 하우징(엑스트라 비)과 프레임 홀더(캐리어비)입니다.
둘 다 내부 GUI는 유사합니다.
보시면 딱 봐도 프레임 넣을 칸 1칸 말고는 없습니다.
그럼 프레임을 3개 박을 수 있는 아피어리 보다 열등한거 아니냐?
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근데 알베어리는 멀티 블럭입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블럭을 쓸 수 있습니다.
원하는 갯수 만큼 프레임을 넣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다만, 프레임 중 유전적 부패(Genetic Decay)를 가속시키는 것이 있어 프린스틴 공주벌이 이그노블 공주벌이 되는 대참사가 일어날 수 있으니 너무 많은 프레임 하우징은 자제하셔야 합니다.
다음은 위 두 블럭의 조합법입니다.
-알베어리 프레임 하우징: 알베어리 블럭 1개 + 철괴 3개 + 금 진공관 3개
-알베어리 프레임 홀더: 알베어리 블럭 1개 + 조잡한 프레임 1개
둘 다 조합하기 쉬우니 원하시는 거 쓰면 될 것 같습니다.
4. 알베어리의 변이 관련
알베어리 내의 변이를 억제하는 블럭과 촉진시키는 블럭이 각각 1개씩 있습니다. 알베어리 스테빌라이저는 이름답게 알베어리 내의 변이를 억제 시킵니다.
1개만 있어도 충분히 변이를 억제하니 오른쪽과 같이 여러개를 설치 안하셔도 됩니다.
반대로 뮤테이터는 이름답게 특정 아이템을 소모하여 변이확률을 올립니다.
뮤테이터도 여러 개 박을 수 있습니다. 이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뮤테이터는 다음과 같은 아이템을 받아 변이율을 증가시킵니다.
아이템 | 증가율(개당) |
소울 샌드 | x1.5 |
엔더 진주 | x2 |
엔더의 눈 | x4 |
자 이 글에서 라피스 벌을 만들기 위해서는 5%의 변이 확률을 뚫어야 합니다. 하지만, 알베어리가 있고 엔더의 눈이 충분히 있다면 이는 매우 쉬워집니다.
3개의 뮤테이터에 엔더의 눈을 넣고 1회 교배를 돌려보겠습니다.
최종 변이 확률 = 5% X 4 X 4 X 4 = 320% > 100%
즉 무조건 변이가 일어납니다. 뮤테이터 3개만 있어도 알베어리 내부의 변이확률을 64배까지 뻥튀기 시켜주므로, 모든 변이가 100% 일어나는 괴물 알베어리를 만드실 수 있습니다. 이것이 저 글에서 언급하였던 꼼수입니다.
다만 확률이 너무 낮아 약간의 꼼수가 필요합니다.
여기서 일단 이 글을 마치겠습니다. 다음 글에서 알아보지 못한 나머지 블럭들을 알아보겠습니다.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Forestry > 양봉 - 벌 기르기&유전자 조작(Apicul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레스트리] 벌의 유전자 (0) | 2022.07.11 |
---|---|
[포레스트리] 알베어리 업그레이드 하기(2) (0) | 2022.07.10 |
[포레스트리] 양봉업자의 옷(Apiarist's Hat/Shirt/Leggings/Boots) (0) | 2022.06.25 |
[포레스트리] 벌의 변이(양봉기)에 관한 조건(1) (0) | 2021.10.21 |
[포레스트리] 벌을 기르는 세가지 방법(2) - 알베어리(Alveary) 소개 (2) | 2021.10.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