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인크래프트 버전 - 1.12.2
Forestry - 5.8.2.422
Binnie 모드류 - 2.5.1.188
Career Bees - 1.0
MagicBees - 1.0
을 쓰고 있습니다.
손에 휴대용 분석기를 들고 꿀 방울을 칸에 넣은 다음에 아무 벌이나 넣으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뜹니다. (이 글에서는 임페리얼 벌을 가지고 예시를 들겠습니다.)

포레스트리는 멘델의 유전 법칙을 따릅니다. 그 중 우열의 법칙을 충실히 따르는데, 여기서 우성 유전자는 Active이고, 열성 유전자는 Inactive입니다. 만약 Active가 임페리얼 벌이고, Inactive가 포레스트 벌이라면 일단 겉으로는 임페리얼 벌의 특성을 지닙니다. 만약 생산력(Production)에서 Active가 '느림'이고 Inactive가 '매우 빠름'이면 일단 이 벌은 생산력이 '느림'에 해당합니다. 저 '매우 빠름' 유전자는 추후 세대에서 발현될 수 있으나, 현재는 발현되지 못한 유전자입니다.
이렇게 우성 유전자와 열성 유전자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각 유전자가 뜻하는 것을 알아보겠습니다.
1. 첫 번째 화면

여기서는 벌의 대략적인 성질에 대해 알 수 있습니다.
-종(Species): 말 그대로의 종의 이름입니다.
-수명(Lifespan): 이 벌의 수명에 대한 것 입니다. 밑의 표에서 Cycles은 550틱 즉, 27.5초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Normal유전자를 Active로 가진 벌의 경우 40*27.5=1100초를 사는 것 입니다. 수명은 어떤 목적으로 벌을 기르느냐에 따라 장단점이 갈립니다.
1. 변이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 빨리 다음 세대를 봐야 하므로 짧을수록 좋습니다.(프레임의 도움을 받기도 합니다.)
2. 생산품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길게 살수록 많은 생산품을 만드므로, 긴 수명일 수록 좋습니다.
따라서, 원하는 벌을 만들때 까지는 짧은 수명을 유지하다가, 원하는 벌을 완성시키면 유전자 조작을 통해 긴 수명으로 바꿔주는 것이 좋습니다.
수명 | Cycles |
Blink | 2 |
Shortest | 10 |
Shorter | 20 |
Short | 30 |
Shortened | 35 |
Normal | 40 |
Elongated | 45 |
Long | 50 |
Longer | 60 |
Longest | 70 |
Eon | 600 |
Immortal | 불멸(벌이 죽지 않습니다) |
-생산력(Production): 벌이 수명 동안 얼마나 많은 생산품을 만드는가에 대한 유전자입니다. 무조건 높을수록 좋습니다.
-꽃의 종류(Flower Type): 벌이 원하는 꽃의 종류입니다. 여기서 자세한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꽃의 종류에 대한 위키: https://ftb.fandom.com/wiki/Flowers)
Flowers
The flowers attribute controls the type of flower needed by the bee. It also controls, if a bee can pollinate trees for treebreeding. The following flowers exist: Added by Forestry Flowers (Vanilla and ExtraBiomesXL. Can be added to via config file.) - Can
ftb.fandom.com
-자손의 수(Fertility): 한 세대가 끝나면 공주벌(이그노블이 아닌경우) 1마리는 무조건 나옵니다. 이제 일벌이 얼마나 나오는 가에 대한 유전자입니다. 이것도 많으면 많을 수록 좋습니다. 최소 1마리 ~ 최대 4마리까지 나옵니다.
예시의 경우 1마리의 공주벌과 2마리의 일벌이 나옵니다. 만약 4마리가 나온다면 유전자 측면에서도 그렇고 일벌을 불리기에도 좋습니다. 다다익선인 셈입니다.
-영역(Territory): 벌이 일하는 영역입니다. 이 영역 이내에 위의 Flower에 해당하는 꽃이 1개라도 있어야 합니다. 대부분의 영역은 9*6*9(X*Y*Z)의 크기를 지닙니다. 이 영역 내에서 꽃(민들레)을 주식으로 하는 벌을 기르면 이 영역내에 꽃이 점점 퍼집니다. 또한 알베어리에서 벌을 기를시 이 영역이 각 변에 대해 2배가 됩니다. 즉 18*12*18에 해당하는 영역을 벌이 차지한다는 것입니다.
-효과(Effect): 벌을 기를 때 주변에 나타나는 효과에 대한 유전자입니다. 이 효과는 위에서 설명한 영역(Territory)내에서만 발동됩니다. 즉, 안 좋은 효과(독 효과)를 지닌 벌을 그냥 알베어리에서 기를 시 멀리에서부터 안 좋은 효과를 받게 됩니다. 그러나 좋은 효과(예시의 임페리얼 벌은 재생 효과를 지난다)도 마찬가지이니 이 유전자를 잘 쓰시면 양봉에 굉장히 도움이 될 것 입니다.
각 효과에 대한 설명은 효과의 종류가 너무 많아 링크를 하나 남기고 마치겠습니다.
(효과에 대한 추가설명: https://ftb.fandom.com/wiki/Effect)
Effect
Several bees have special effects, which can be activated inside their territory (usually 9x6x9).
ftb.fandom.com
2. 두 번째 화면

여기서는 벌이 어느 조건에서 살 수 있고, 얼마나 많은 조건에서 일을 할 수 있는 지에 대해 알 수 있습니다.
-Climate(온도)/Humidity(습도): 벌이 살 수 있는 온습도와 저항성(Tolerance)에 대한 유전자입니다. 이전에 설명한 바가 있으므로, 링크로 대체하겠습니다. (벌의 온도와 습도: https://pooling130720.tistory.com/27?category=972563)
[포레스트리] 벌의 온도와 습도
마인크래프트 버전 - 1.12.2 Forestry - 5.8.2.422 Binnie 모드류 - 2.5.1.188 Career Bees - 1.0 MagicBees - 1.0 을 쓰고 있습니다. 포레스트리에 익숙치 않은 분들은 가끔 벌이 활동을 하지 않는 경우를 경험..
pooling130720.tistory.com
-주행성/야행성(Dinural/Nocturnal): 대부분의 벌은 주행성입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벌은 낮에 일을 합니다. 근데 야행성인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야행성이 있을 경우 낮 뿐만이 아니라 밤에도 일을 합니다. 꼭 넣어줘야 효율적으로 벌을 착취할 수 있습니다.
-우천 시 활동성(Tolerant Flyer): 이 유전자가 없는 벌은 비가 올 때 일을 할 수가 없습니다. 마크에서는 사막을 제외하면 비가 오므로, 이 유전자가 없을 경우 벌이 일을 하지 못하는 시간이 생긴다는 것 입니다. 야행성 유전자와 마찬가지로 벌을 효율적으로 착취하기 위해 무조건 필요한 유전자 중 하나입니다.
-동굴 생활(Cave Dwelling): 벌통 위(y축)가 막혀있는 경우 벌이 빛을 보지 못한다고 파업을 합니다. 그래서 초반엔 양봉기를 탁 트인 벌판에 놓고 지붕없이 양봉을 하게 됩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고 길러야 할 벌이 너무 많아진 경우 공간의 효율성을 위해 양봉기를 위아래로 겹치기도 합니다. 이때 가장 필요한 유전자가 이겁니다. 이 유전자가 있으면 벌이 위가 막혀있다고 하여서 찡찡대지 않습니다. 양봉을 부수적인 수단으로 활용할 시에는 꼭 필요한 유전자까지는 아니지만, 만약 벌을 효율적으로 착취하려 한다면 꼭 필요한 유전자입니다.
3. 세 번째 화면

벌의 생산품에 대한 화면입니다. 예시는 임페리얼 벌로 들었으므로, 로열젤리가 생산품으로 있는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 화면을 참조하여 이 벌이 무엇을 생산하지는 파악할 수 있습니다.
4. 네 번째 화면

추후 변이에 대한 화면입니다. 벌의 교배를 통해 벌의 변이를 발견할 시 저 물음표들이 벌 모양으로 바뀌면서 기록됩니다. 열심히 양봉해서 다 채워봅시다!
5. 다섯 번째 화면

종에 대한 분류와 간단한 설명, 그리고 발견자를 써놓은 화면입니다. 발견자는 대개 모더를 지칭합니다. 임페리얼 벌의 경우 포레스트리의 근본 벌이니 포레스트리의 원 모더, 셍기르가 발견하였다고 써져있습니다.
그 밑의 회색 글씨로 벌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 써있는데 딱히 유용하지는 않습니다. 앞의 유전자에서 다 확인 할 수 있는 애용입니다.
이상으로 포레스트리 벌의 유전자 분석에 대해 마치겠습니다.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Forestry > 양봉 - 벌 기르기&유전자 조작(Apicul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레스트리] 기본 벌 찾기 (0) | 2022.07.13 |
---|---|
[포레스트리] 벌의 채집과 공주벌 - 포레스트리의 시작 (0) | 2022.07.12 |
[포레스트리] 알베어리 업그레이드 하기(2) (0) | 2022.07.10 |
[포레스트리] 알베어리 업그레이드 하기(1) (0) | 2022.07.09 |
[포레스트리] 양봉업자의 옷(Apiarist's Hat/Shirt/Leggings/Boots) (0) | 2022.06.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