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인크래프트 버전 - 1.12.2
Forestry - 5.8.2.422
Binnie 모드류 - 2.5.1.188
Career Bees - 1.0
MagicBees - 1.0
을 쓰고 있습니다.
이때까지 벌의 종류에 다루면서 변이가 어떤 원리로 일어나는지 다루지 않았습니다. 이 글을 통해 그것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일단 포레스트리는 멘델의 유전법칙을 따릅니다. 즉, 우열의 법칙을 따른다는 뜻입니다. 이제 포레스트-메도우 교배를 통해 커먼 벌을 얻어보겠습니다.
일단 교배할 두 벌 모두 야생에서 갓 잡아와서 한번도 교배를 진행하지 않았다고 가정하면, 두 벌은 모두 동형 동형 유전자형을 가집니다. 생명과학 1에서 줄창 했던 퍼넷 스퀘어를 그려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포레스트 동형 유전자 | |||
포레스트 | 포레스트 | ||
메도우 동형 유전자 |
메도우 | 메도우-포레스트 이형 접합 | 메도우-포레스트 이형 접합 |
메도우 | 메도우-포레스트 이형 접합 | 메도우-포레스트 이형 접합 |
자손은 모두 포레스트-메도우 이형접합 유전자형을 가지며, 둘 중 발현되는 종 유전자(Species)는 랜덤입니다. 만약 변이가 없는 비하우스에서 위와 같이 교배할 시 절대 커먼 벌이 나올 수 없습니다. 이제 두 벌을 아피어리에서 교배시켜 봅시다. 아피어리는 변이가 가능하므로 15%의 확률로 커먼 벌 유전자가 생길 수 있습니다.
즉, 위의 표에서 이형 접합인 부분마다 15%의 확률로 커먼 벌 유전자가 나올 확률이 있다는 것 입니다. 일단 메도우 공주벌은 자손으로 일벌을 2마리 남기므로, 공주 벌까지 포함해서, 총 3마리의 벌이 한 세대가 끝나면 생성됩니다.
그 세 벌에 대해서 유전자 분석을 실시하니, 공주벌의 경우 성공적으로 커먼 벌 유전자가 생겼지만 비발현 유전자 탭이었습니다. 다른 일 벌의 경우 둘 다 메도우-포레스트 잡종이었습니다.
이제 생성된 공주벌과 일벌 1마리를 다시 교배시켜 보겠습니다. 일단 퍼넷 스퀘어를 그려 한번 결과를 예측해보겠습니다.
메도우-커먼 이형 접합 | |||
메도우 | 커먼 | ||
포레스트-메도우 이형 접합 |
포레스트 | 포레스트-메도우 (커먼 발생가능) |
포레스트-커먼 |
메도우 | 메도우 동형 유전자 | 메도우-커먼 |
커먼 벌 유전자가 새로 생성될 확률이 아까보다 굉장히 낮아졌습니다. 그래도 커먼 유전자가 한 쪽에 있어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을 것 입니다. 이제 그 결과를 보겠습니다.
변이는 없었고(있었지만 우연의 일치로 예상한 대로 나온 것 일수도 있습니다.), 세 벌 모두 위의 퍼넷 스퀘어 안의 4칸 중 한 개의 유전자형을 가졌습니다.
종합해보면, 자손 벌들이 생성될 때 변이가 없다고 가정할 시 퍼넷 스퀘어의 4칸 중 1칸의 유전자형을 그대로 가집니다.
반면, 퍼넷 스퀘어 상에서 변이가 일어날 확률이 있는 교배 조건이면, 발현/비발현 유전자 중 1개가 변이되는 유전자로 교체되거나, 둘 다 교체될 수 있습니다. (종 유전자는 발현/비발현으로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커먼 벌의 변이확률 기준(15%)으로 각 벌이 변이될 확률을 정리해보았습니다.
경우 | 각 경우의 변이확률 | (퍼센트 기준) |
둘 다 교체 안되는 경우(부모 종 유지) | 0.85 * 0.85 = 0.7225 (72.25%) | |
발현/비발현 중 한 개만 교체되는 경우 |
1 - (0.7225 + 0.0225) = 0.255 (25.5%) | |
완전한 변이가 일어나는 경우 | 0.15 * 0.15 = 0.0225 (2.25%) |
발현/비발현 중 1개라도 변이가 일어날 확률은 27.75%로 계산됩니다. 그나마 15%라는 높은 확률로 변이되는 커먼 벌이라 이정도이지, 라피스 벌은
5센트라는 극악한 확률로 변이됩니다. 그럼 이 확률을 무한한 노가다로 뚫어야 하나? 아닙니다. 저 글에도 언급했지만, 약간의 꼼수만 있다면, 100% 확률로 라피스 벌을 만들 수 있습니다.
(+) 뮤테이터의 파워
이 글에서 뮤테이터란 알베어리 업그레이드 블럭을 소개하면서, 한 가지 꼼수를 소개했습니다. (항목 4 참조)
[포레스트리] 알베어리 업그레이드 하기(1)
마인크래프트 버전 - 1.12.2 Forestry - 5.8.2.422 Binnie 모드류 - 2.5.1.188 Career Bees - 1.0 MagicBees - 1.0 을 쓰고 있습니다. 지난 알베어리 글에서는 알베어리에 대해서만 간략히 알아보았습니다. [포레..
pooling130720.tistory.com
변이 확률 1.5625% (100/64=1.5625) 이상이라면 무조건 변이가 일어나는 알베어리를 뮤테이터 3개로 만들 수 있습니다. (엔더의 눈 사용)
여기다가 아까와 마찬가지로, 메도우 동형 - 포레스트 동형을 교배시켰습니다.
변이율 100% 양봉기에서 변이가 일어났으니, 벌 들이 모두 커먼 벌로 나오는 것을 볼 수 잇습니다. 게다가 다 커먼 동형 유전자로 바뀌어서 일벌끼리 깔끔하게 정리되는 것도 보입니다.
라피스 벌도 1.5625%보다 큰 5퍼센트의 변이 확률이므로, 이 알베어리에서 교배하게 된다면 무조건 라피스 벌만 나옵니다. 이래서 알베어리를 최우선적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그래서, 양봉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알베어리의 재료인 화분/로열젤리를 생산하는 인더스트리우스/임페리얼 벌을 최우선적으로 만들어야 하는 것 입니다. 알베어리만 있으면, 확률 계산 안하고 원하는 벌을 찍어낼 수 있습니다. 그전까지는 확률 싸움을 엄청 해야합니다. 아마 100번 정도?
그러나 어쩔 수 없습니다. 알베어리 1대가 나오기 전까진 눈물을 머금고 임페리얼/인더스트리우스의 8%라는 낮은 변이확률을 뚫어야합니다. ㅠㅠ
이로써 중요한 벌의 변이에 대한 글을 마치겠습니다.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Forestry > 양봉 - 벌 기르기&유전자 조작(Apicul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레스트리] 포레스트리의 유전자 조작(0) - 유전자 조작 준비하기 (0) | 2022.07.16 |
---|---|
[포레스트리] 벌의 생산 속도 (0) | 2022.07.15 |
[포레스트리] 기본 벌 찾기 (0) | 2022.07.13 |
[포레스트리] 벌의 채집과 공주벌 - 포레스트리의 시작 (0) | 2022.07.12 |
[포레스트리] 벌의 유전자 (0) | 2022.07.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