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인크래프트 버전 - 1.12.2
Forestry - 5.8.2.422
Binnie 모드류 - 2.5.1.188
Career Bees - 1.0
MagicBees - 1.0
을 쓰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 벌의 유전자 분석 화면 중 생산속도(Production)에 대해서는 간단히만 언급하고 넘어갔었습니다.
[포레스트리] 벌의 유전자
마인크래프트 버전 - 1.12.2 Forestry - 5.8.2.422 Binnie 모드류 - 2.5.1.188 Career Bees - 1.0 MagicBees - 1.0 을 쓰고 있습니다. 손에 휴대용 분석기를 들고 꿀 방울을 칸에 넣은 다음에 아무 벌이나 넣으..
pooling130720.tistory.com
이제 이 유전자가 어떻게 벌의 생산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포레스트리에는 벌 틱(Bee Tick)이라는 시간 개념이 있습니다. 이는 위 글에서 수명 유전자를 분석할 때 살짝 맛보기로 언급했었습니다. 벌 틱은 550틱입니다. 틱(Tick)은 마인크래프트에서 쓰는 시간 개념이며 1틱은=0.05초입니다.
1 벌 틱(Bee Tick) = 550 * 0.05 초 = 27.5 초
1 벌틱은 위와 같이 27.5초이며 1 벌 틱이 지나갈 때마다 포레스트리는 벌통 내부를 검사하여 벌이 생산품을 만들지 안 만들지 결정합니다. 즉, 벌의 생산력은 확률싸움입니다. 27.5초마다 가챠를 하는 것 입니다.
이제 이 가챠 확률식을 알아보겠습니다. 이 위키에 따르면 벌이 1벌틱 후 생산품을 만들 확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생산확률 = 벌의 생산 속도 계수 * 양봉기의 생산 계수 * 아이템이 생성되는 계수
P = (bee speed) * (production modifier) * (item probability)
각 계수에 대해 하나식 알아보겠습니다.
1. 벌의 생산 속도 계수
위에서 언급했듯이 유전자 분석 화면에서 알 수 있습니다. 각 유전자 마다의 계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전자 이름 | 확률 (계수) |
Slowest | 30% (0.3) |
Slower | 60% (0.6) |
Slow | 80% (0.8) |
Normal | 100% (1.0) |
Fast | 120% (1.2) |
Faster | 140% (1.4) |
Fastest | 170% (1.7) |
2. 양봉기의 생산 계수
이 글에서 각 양봉기의 기본 생산계수를 나타낸 표입니다.
생산력(상대적, 알베어리 =1) | 비고 | |
비하우스 | 0.25 | 불변 |
아피어리 | 0.1 | 프레임을 통해 증폭가능 |
알베어리 | 1 | 일반적으로 증폭 불가 모드 통해 프레임 장착 후 증폭가능 |
위 계수는 프레임이 없는 경우입니다. 포레스트리에서 기본 제공하는 프레임 3개(조잡한 프레임, 강화된 프레임, 증명된 프레임)를 장착할 시 개당 생산계수에 X2가 됩니다.
만약, 아피어리에 강화된 프레임 3개를 박았을 시 생산계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프레임 3개가 박힌 아피어리의 생산계수 = 0.1 X 2 X 2 X 2 = 0.8
이제 알베어리가 없는 초반엔 귀찮더라도 곡 프레임을 박은 아피어리로 꿀을 얻어야 하는 이유입니다. 프레임이 없을 시 생산력이 아무리 높은 벌을 쓰더라도 양봉기 자체의 생산력이 떨어져 시간 손해가 막심합니다.
3. 아이템이 생성되는 계수
JEI(Just Enough Items)란 모드를 통해 벌이 생산하는 것을 보여주는 화면을 보니 다음과 같았습니다.(커먼 벌 기준)
커먼 벌은 35%의 확률로 1벌틱이 지나갈때 마다 일반 콤을 하나 생산합니다.
비교 대상으로 사이언스 벌(Science Bee)도 한 번 보았습니다.
이제 두 벌을 아피어리에 넣고 생산을 시켜보겠습니다. 이 아피어리는 프레임이 없다고 가정하였습니다.
두 벌의 생산 속도 유전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커먼 벌 | 사이언스 벌 | |
생산 속도 유전자 (계수) | Slower (0.6) | Slow (0.8) |
1 벌틱이 지났을 때 다음과 같은 확률로 각 생산품이 생산될 수 있습니다.
생산 속도 계수 | 양봉기의 계수 | 아이템 생성 계수 | 최종 확률 | |
커먼 - 일반 콤 | 0.6 | 0.1 | 0.35 | 0.021 (2.1%) |
사이언스 - 일반 콤 | 0.8 | 0.1 | 0.35 | 0.028 (2.8%) |
사이언스 - Stringy 콤 | 0.8 | 0.1 | 0.15 | 0.012 (1.2%) |
사이언스 - 화분 | 0.8 | 0.1 | 0.1 | 0.008 (0.8%) |
굉장히 낮은 확률로 각 아이템 들이 생성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두 벌에서 아이템 생성 계수가 같은 일반 콤의 생산 확률이 벌의 생산 속도 유전자에 의해서 확률이 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이언스(Slower, 2.8%) > 커먼(Slowest, 2.1%))
그나마 사이언스 벌은 수명 유전자가 Long이어서 50벌틱 동안 살 수 있어 가챠를 50번 할 수 있지만, 커먼 벌은 수명 유전자가 Shorter라 20번 밖에 가챠를 못합니다.
만약 사이언스 벌을 알베어리(생산력 계수=1.0)에서 기르면 각 생산품은 각각 28/12/8%의 확률로 생성됩니다.
(생산력이 10배 차이난다)
이래서 무조건 알베어리를 만들어야 합니다. 확률 싸움에서 자릿수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알베어리+유전자 조작을 통해 한 아이템의 생산확률을 1 이상으로 높인다면 1벌틱마다 그 아이템은 무조건 생성됩니다.
예를 들어 커먼 벌의 생산속도 유전자를 Fastest(1.7)로 바꾸고 알베어리에서 길렀때, 일반 콤의 생산확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최종 생산 확률 = 1.7 * 1.0 * 0.35 = 0.595 (59.5%)
이제 이 글에서 나온 알베어리 프레임 하우징/프레임 홀더를 통해 딱 1개의 프레임(조잡한/강화/증명된 프레임 중 1개)을 알베어리에 박으면 생산확률이 1 이상이 됩니다.
1개의 프레임을 박았을 경우(양봉기 생산력 X2) = 1.7 * 2.0 * 0.35 = 1.19 > 1
이렇게 최대한 생산확률을 올려서 풍족한 양봉 생활을 하시길 바랍니다.
벌의 생산력에 대한 글을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Forestry > 양봉 - 벌 기르기&유전자 조작(Apicul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레스트리] 포레스트리의 유전자 조작(1) - 유전자 추출 및 등록 (0) | 2022.07.17 |
---|---|
[포레스트리] 포레스트리의 유전자 조작(0) - 유전자 조작 준비하기 (0) | 2022.07.16 |
[포레스트리] 벌의 변이 (0) | 2022.07.14 |
[포레스트리] 기본 벌 찾기 (0) | 2022.07.13 |
[포레스트리] 벌의 채집과 공주벌 - 포레스트리의 시작 (0) | 2022.07.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