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인크래프트 버전 - 1.12.2
Forestry - 5.8.2.422
Binnie 모드류 - 2.5.1.188
Career Bees - 1.0
MagicBees - 1.0
을 쓰고 있습니다.
수동으로나 자동농장으로 나무를 캐면 원목과 묘목을 줍니다. 원목은 화로에서 한 번 구워 목탄으로 만들 수 있지만, 묘목은 다시 나무를 심는거 빼면 사실 쓸 데가 없어 보입니다. 포레스트리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바이오매스와 에탄올을 내놓았습니다.
다음은 각각 바이오매스와 에탄올을 생성하는 기계인 발효기(fermenter)와 증류기(still)입니다.
각각의 조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발효기 - 튼튼한 케이싱 1개(청동 주괴 8개) + 청동 기어(청동 주괴 4개) + 유리 4개
증류기 - 튼튼한 케이싱 1개 + 레드스톤 가루 4개 + 유리4개
역시 포레스트리의 기계인 만큼 굉장히 쌉니다.
이제 각 기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겠습니다.
1. 발효기
말 그대로 발효를 시키는 기계입니다. 묘목을 액체와 같이 발효시켜 바이오매스로 만들거나 액체 꿀을 발효시켜 벌꿀술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근데 우리는 지금 에탄올에 집중하고 있으므로 벌꿀술은 생략하겠습니다.
발효기에는 두 액체 탱크가 있습니다. 좌측이 발효를 시킬 액체 탱크이고, 우측이 발효가 된 액체가 저장되는 탱크입니다.
각 탱크는 10000mB(양동이 10개)의 용량을 지니므로 수동으로 하기보다는 파이프를 달아 자동화를 시켜주는 게 편합니다.
같은 묘목(바닐라 참나무 묘목)을 액체만 다르게 하여 발효시켰는데, 나오는 바이오 매스의 양이 다릅니다.
먼저 발효기에서의 생산될 수 있는 바이오매스의 양에 대한 공식을 소개하겠습니다.
바이오매스의 생산량 = 발효시키는 액체의 양 * 액체의 종류 * 묘목의 수액 양 배율(Sappiness)
일단 액체의 양은 1번 반응할 때마다 250mB로 고정입니다.
액체의 종류에서 물은 x1, 꿀또는 과즙(과일을 압착기에 넣어서 얻는다)은 x1.5의 배율을 지닙니다.
묘목의 수액 양 배율은 각 묘목을 유전자 분석해서 알 수 있으며 그 배율은 다음 표와 같습니다.
단계 | 발효기에서의 효율성 |
Lowest | x1 |
Lower | x2 |
Low | x3 |
Average | x4 |
High | x6 |
이제 예시 몇개를 들어보겠습니다.
발효시키는 액체의 양 | 액체의 종류 | 묘목의 수액 양 배율 | 묘목 1개당 총 생산량 |
250mB | x1 (물) | x1 (바닐라 참나무/Lowest) | 250mB |
250mB | x1.5 (과즙) | x4 (Apricot/Average) | 1500mB |
250mB | x1 (물) | x6 (Blue Mahoe/High) | 1500mB |
두 번째 행과 세 번째 행을 보면 묘목의 수액 양이 차이 남에도 불구하고 이를 과즙을 써서 해결했습니다. 나무농장을 돌려 과일이 넘친다면 위와 같이 발효시에 과즙을 쓰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제 물을 넣고, 위의 칸에 묘목을, 밑의 칸에 멀칭(Mulch)를 넣어 발효를 진행시켜 보겠습니다. 이때, 멀칭은 과일을 압착하다보면 일정확률로 확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멀칭이 아니라 일반 비료를 넣어도 작동하며 바이오매스의 양에는 차이가 없습니다.
2. 증류기
이제 증류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증류기의 GUI랑 작동방식은 간단합니다.
증류기의 GUI는 위와 같으며, 좌측은 증류할 액체, 우측은 증류된 액체가 저장되는 탱크입니다. 발효기와 마찬가지로 각 탱크당 10000mB의 용량을 지니므로 자동화를 해주시는 것이 편합니다. 지금 위의 사진에서 1번의 증류로 300mB의 에탄올이 생성되었습니다. 증류기의 증류 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왼쪽에는 바이오매스 10mB, 오른쪽은 에탄올 3mB이다. 즉 10:3의 비율로 증류된다는 것이다. 근데 1번의 작동당 1000mB의 바이오매스가 한번에 증류되므로 300mB의 에탄올이 나오는 것이다.
이제 위 방법들을 통해 얻은 에탄올이 어디에 쓰이는 지 알아보자. (SE9 모드팩 기준)
1. 유전자 조작(포레스트리)
묘목이나 벌에서 액체 DNA를 얻는데 사용되거나(좌측), 묘목이나 벌에서 임의의 유전형질을 뽑아내는 데 사용된다.(우측)
2. 각종 발전(원래 우리의 목표)
만약 기계류 모드가 더 있다면(ex. 그레그테크 등) 분명히 에탄올 발전을 추가해 놓았을 것입니다. 에탄올 발전의 진정한 의미는 바로 재생 가능한 에너지란 것입니다. 현실에서도 한때 바이오매스와 그 부산물이 재생 가능한 에너지로 각광받았던 것처럼, 마크 내에서도 에탄올은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입니다. 나무 자동농장만 있다면 에탄올은 무한 얻을 수 있습니다. 비록 석유와 그 정제품에 비해 발전량이 그리 크진 않지만, 석유는 계속 탐사하지 않으면 고갈됩니다. 나무 자동농장만 있다면 고갈될 염려가 없는 에탄올을 당신의 기계실 전력으로 써보는 것은 어떻습니까?
이상으로 에탄올을 만드는 두 기계인 발효기와 증류기, 그리고 에탄올을 만드는 방법에 대한 글을 마치겠습니다.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P.S.) Just Server Tweak 3이 있다면 할 수 있는 에탄올 정제법
만약 서버 모드팩에 Just Server Tweak 3버전이 있고, 멀티블럭 정제소를 구축해놓았다면 위와 같은 정제를 할 수 있습니다.
바이오매스 4000mB > 에탄올 2000mB + 바이오가스(ic2.biogas) 16000mB
원래는 정제비율이 10:3이었던 것이 2:1까지 올라갔고, 게다가 바이오가스라는 추가 부산물까지 줍니다.
바이오가스는 가스답게 에너지원으로 쓰일 수 있습니다.
바이오가스는 에탄올(200000EU)에 비해 1버킷당 발전량이 많진 않지만(60000EU), 생산되는 양도 많아 충분한 야의 전력을 당신의 기계실에 제공해 줄 것입니다.
'Forestry > 포레스트리 기계(Forestry Machine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레스트리] 전력 생산하기 - 포레스트리 엔진들 (0) | 2022.06.27 |
---|---|
[포레스트리] 포레스트리 기초 기계(원심분리기/카펜터/압착기) (0) | 2022.06.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