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인크래프트 버전 - 1.12.2
Forestry - 5.8.2.422
Binnie 모드류 - 2.5.1.188
Career Bees - 1.0
MagicBees - 1.0
을 쓰고 있습니다.
오늘은 유전자 데이터 베이스에서 유전자를 꺼내고, 그 유전자를 이노큘레이터에서 사용할 수 있게 증폭시키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유전자의 증폭은 폴리머라이저라는 기게에서 진행됩니다.
폴리머라이저의 내부 GUI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계 내부에 탱크가 두 개나 있습니다. 위의 탱크는 폴리머라이징 박테리아가 들어가는 탱크이며, 밑의 탱크는 진풀에서 추출한 액체 DNA가 들어가는 탱크입니다.
[포레스트리] 포레스트리의 유전자 조작(0) - 유전자 조작 준비하기
마인크래프트 버전 - 1.12.2 Forestry - 5.8.2.422 Binnie 모드류 - 2.5.1.188 Career Bees - 1.0 MagicBees - 1.0 을 쓰고 있습니다. 비니 모드의 꽃 유전자 조작을 슬슬 시작해보겠습니다. 이 글은 유전자 조..
pooling130720.tistory.com
각 탱크에는 1버킷 분량의 액체밖에 들어가지 않으므로, 파이프를 통해 자동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액체 DNA의 경우 소모량이 극심하니 충분한 양을 모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중간에는 금 조각이 들어가는 슬롯입니다. 이때까지 보아온 효소 슬롯처럼 기계에 넣을 시 한개가 소모되면서 옆의 바가 차며, 기계가 작업 중일 때 서서히 소모됩니다. 금 조각도 파이프 등을 통해 자동 공급이 되도록 합시다.
마지막으로 탭 키를 눌러 1회 작동시 필요한 시간과 전력의 양을 알아보았습니다. 근데, 이 정보는 가짜입니다. 어디서 오류가 있는지는 몰라도 1회 작동시에 이것과 다른 양의 전력과 시간이 필요합니다.
위에서 언급한 준비물을 모두 채운 폴리머라이저의 모습입니다. 이제 이 기계를 사용해보겠습니다.
먼저, 엔디어링 벌에서 생산력:Fastest라는 매우 좋은 유전자를 추출해보았습니다.
저번에도 보았지만, 시퀀스를 하나도 증폭시키지 않은 상태서 시퀀싱을 하면 너무나도 많은 시간이 걸립니다. 이 폴리머라이저를 통해 완전하게 증폭시켜야 그나마 빠르게 시퀀싱이 가능합니다. 폴리머라이저를 통해 Fastest 유전자가 있는 시퀀스를 증폭시켜 보겠습니다.
시퀀스에는 당연히 1개의 유전정보가 들어있으므로, 1개의 유전정보를 복제중이라고 뜹니다.(Replicating 1 genes)
그러므로, 1회당 총 24초가 걸리며, 192000RF의 전력을 먹습니다. 아까 보았던 정보와 살짝 다릅니다.
증폭 단계는 다음과 같이 6단계로 구분됩니다.
사진이 조금 섞였지만, 각 시퀀스 밑에 증폭 정도가 써져있습니다. 확대해서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단계 이름 | 시퀀싱시 걸리는 시간 | 필요한 전력(RF) |
Very Faint | 16:00 | 3840000 |
Faint | 15:31 | 3724800 |
Weak | 14:04 | 3379200 |
Average | 11:40 | 2803200 |
Strong | 8:19 | 1996800 |
Very Strong | 4:00 | 960000 |
단계가 올라갈 수록 시간과 필요한 전력량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Very Faint와 Very Strong의 경우 시퀀싱이 끝날때까지 필요한 시간과 전력량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단계 | 걸리는 시간 | 필요한 전력 | 비고 | |
Very Faint(0회 증폭) | 16:00 | 3840000 | 모두 Very Strong이 우세하다 |
|
Very Strong(5회 증폭) | 4:00+24*5=6:00 | 960000+192000*5=1920000 |
시간적으로나 전력 소비량 측면에서나 Very Strong까지 증폭시키고 시퀀싱을 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다만, 폴리머라이징 박테리아나 액체 DNA를 소비할 뿐입니다.
이제 Very Strong까지 Fastest 유전자를 증폭시키고 시퀀싱까지 완료하였습니다.
데이터베이스에서 유전자를 꺼내려면 세럼(Serum)이 필요합니다. 세럼 1개당 유전정보를 1개만 담을 수 있고, 여러 유전정보를 한번에 담으려면 다음과 같이 세럼 어레이(Serum Array)를 통해 9개까지 한번에 담음 수 있습니다.
이제 다시 데이터베이스를 우클릭하고 좌측의 나의 인벤토리에서 세럼을 집어 원하는 유전자 위에 커서를 놓습니다. 그럼 다음과 같이 유전자 그림을 둘러쌓는 네모가 나오고,
이를 우클릭하면 세럼이 노란색으로 바뀝니다. 세럼 안에 유전자가 들어간 것입니다.
인벤토리로 꺼내서 보니 세럼에 Fastest 유전자가 들어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근데 세럼이 텅 비어있다고 뜹니다.(Empty) 이대로는 이노큘레이터에서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그럼 어떻게 이 세럼을 채울 수 있을까요? 바로 폴리머라이저를 통해 증폭시키는 것 입니다.
세럼 속의 유전자가 1개라 1회 증폭시에 24초 밖에 걸리지않으며, 총 16회 분의 유전자까지 증폭시킬 수 있습니다. 즉, 세럼을 풀충전한다고 하면 24*16=384초가 걸리다는 뜻입니다. 그래도 한 번 충전으로 16회까지 넣을 수 있으므로, 너무 오래 걸린다고 생각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 세럼 어레이의 경우
세럼 어레이에는 9개의 유전자가 담깁니다. 그럼 1회 작동시에 몇 초가 걸릴까요?
바로 (세럼 안에 있는 유전자의 수)*24 초 입니다.
저번에 컬티 벌에서 추출한 똥쓰레기 유전자와 Fastest 유전자를 한 세럼 어레이에 동시에 담았습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1회 증폭시에 24초의 딱 2배인 48초가 걸리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즉, 원하는 유전자를 덕지덕지 넣으면 세럼을 충전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것입니다.
이상으로 폴리머라이저에 대한 글을 마치겠습니다.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Forestry > 양봉 - 벌 기르기&유전자 조작(Apicul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레스트리] 포레스트리의 유전자 조작(4) - 유전자 조작 마무리 (0) | 2022.07.20 |
---|---|
[포레스트리] 포레스트리의 유전자 조작(3) - 유전자 집어넣기 (0) | 2022.07.19 |
[포레스트리] 포레스트리의 유전자 조작(1) - 유전자 추출 및 등록 (0) | 2022.07.17 |
[포레스트리] 포레스트리의 유전자 조작(0) - 유전자 조작 준비하기 (0) | 2022.07.16 |
[포레스트리] 벌의 생산 속도 (0) | 2022.07.15 |
댓글